본문 바로가기

함께기자단 기사157

여러분의 인어공주는 어떤 모습인가요? 2021. 7. 15.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병원비백만원연대’ 출범식 및 토론회 - 병원비 걱정 없이, 아픈 만큼 치료받을 수 있는 사회를 위한 걸음 ◇ 국민 건강권 보장을 위한 ‘전 국민 병원비 백만 원 상한제’ 1989년 7월 1일, 의료보험이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확대되었다(전국민 의료보험). 2000년 7월 1일, 직장의료보험과 지역의료보험이 통합되어 현재의 국민건강보험이 출범하였다. 그로부터 21년이 흐른 지난 6월 30일,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병원비백만원 연대’(이하 병원비백만원연대)가 출범하였다. 병원비백만원연대는 “국민건강보험이 있음에도 대부분의 국민이 사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정상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병원비 백만 원 상한제를 제안한다. 모든 국민이 자신의 병원비를 1년에 백만 원까지만 부담하고, 그 이상은 국민건강보험으로 해결하자는 것이다.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하고도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하여 연간 약 50조 원의 추가적인 가계지출이.. 2021. 7. 14.
아이들의 언어 발달, 마스크가 방해한다? 코로나 19 예방을 위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마스크는 우리 삶에서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 사람들은 누군가를 만날 때, 식음료를 섭취할 때, 사진을 찍을 때 등 마스크 착용이 주는 불편함을 감당하는 생활에 어느 정도 적응했다. 하지만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례도 여전히 존재한다. 모국어를 배우는 아이들이 그 대표 사례이다. 지난 5월 24일,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실과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서울 경기지역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4.9%가 ‘마스크 사용으로 인한 언어 노출 및 발달 기회가 감소했다.’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로 착용해야 하는 마스크가 아이들의 언어 발달을.. 2021. 7. 13.
아동, 청소년 온앤오프(ON-line/OFF-line) #위왓치유, 그리고 추적단 ‘불꽃’ - 아동, 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추적기 아동, 청소년 온앤오프(ON-line/OFF-line) 온라인 ① #위왓치유, 그리고 추적단 ‘불꽃’ - 아동, 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추적기 ◇ ‘N번방 사건’, 그 이후 12세 소녀 세 명에게 열흘간 온라인으로 접근한 남성 수 2,458명(영화 ‘#위왓치유’). 소아 성착취 영상을 제작, 유포, 스트리밍하는 ○○○ 사이트의 회원 수, 1분기 만에 70만 명 돌파(『우리가 우리를 우리라고 부를 때』). 시공간 제약이 없는 온라인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의 규모는 상상 그 이상이다. ‘N번방 사건’이 우리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후 제정된 N번방 방지법이 시행된 지 반년이 넘어가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었음에도 실제 강한 처벌로 이어지지는.. 2021. 7. 9.
조별과제 희망편 "올키즈스트라, 함께해서 행복해요" 2021. 7. 8.
노키즈존(No Kids Zone), 아동 인권과 업주의 권리 사이 레스토랑이나 카페 앞에서 ‘노키즈존(No Kids Zone)’이라는 문구를 보신 적이 있나요? 이는 말 그대로 이 가게에서는 영유아 및 어린이의 출입 자체를 제한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노키즈존(No Kids Zone)은 몇 년 전부터 큰 논란이 되어왔습니다. 업주의 권리 중 하나일 뿐이라며 찬성하는 입장과, 아동의 인권을 침해하는 일이라며 반대하는 입장이 충돌하고 있는 것입니다. * 노키즈존(No Kids Zone)이란? 노키즈존(No Kids Zone)이란, 성인 고객에 대한 배려와 아동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아동의 출입을 제한하는 업소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이때 ‘키즈’를 몇 살까지로 하는 지는 5세, 8세 등으로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키즈는 영유아나 어린이를 뜻하지만, 제주도의 한 노키즈존.. 2021.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