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글
-
그것이 알고 싶다 4탄-함께걷는아이들 느린학습자 기초학력지원 프로그램 수업지도안, 사례
안녕하십니까. 함께걷는아이들 인턴 노신영입니다. 오늘은 올키즈스터디팀에서 ‘느린학습자’를 위해 진행한 기초학력향상 프로그램인 ‘Challenge to Basic’ 의 수업지도안과 사례에 대한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수업지도안, 수업지도사례 등 프로그램의 상세한 정보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v 느린학습자 아동, 청소년 교육방법을 고민하는 아동복지현장 교육자 v 느린학습자 자녀 교육방법을 고민하는 부모님 v 느린학습자..
2022.05.03
-
[ 악기 대여 프로젝트-씨유(see you) ] 대여한 악기로 연습해서 상위관악단에서 만나요, see you!
안녕하세요 ! 오늘은 함께걷는아이들의 악기 대여 프로젝트-씨유(see you) 사업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 #. 씨유,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함께걷는아이들은 2009년부터 아이들에게 음악을 통한 행복한 경험과 성장을 선물해왔습니다. 오케스트라와 음악교육을 진행하면서 어떻게하면 목관, 금관의 다양한 악기들을 잘 활용할 수 있을지 더 많은 아이들이 음악을 배울 수 있을지 고민을 거듭했고, 더 많은 아이들에게 음악..
2022.05.02
-
[빛의소리희망기금] 빛의 소리를 희망으로!
우리는 ‘장애인’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장애인’에 반대되는 개념은 무엇일까요? - 일반인, 정상인이 아닌 ‘비장애인’ 입니다. ‘장애인의 날’은 언제인지 아시나요? - 4월 20일 입니다. 특별하지 않은, 우리의 보통 이웃인 장애인에 대해 우리는 아직도 모르는 게 많고 간혹 오해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해 사회 곳곳에서 다양한 활동들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함께걷는아이들은 메디컬 필하모닉 오..
2022.04.18
-
그것이 알고 싶다 3탄-함께걷는아이들 느린학습자 기초학력지원 프로그램 수업현황
안녕하십니까. 함께걷는아이들 인턴 노신영입니다. 오늘은 올키즈스터디팀에서 ‘느린학습자’를 위해 진행한 기초학력향상 프로그램인 ‘Challenge to Basic’ 의 수업현황 정보에 대한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교육모델, 수업현황, 학습목표, 교재 등 프로그램의 상세한 정보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v 느린학습자 아동, 청소년 교육방법을 고민하는 아동복지현장 교육자 v 느린학습자 자녀 교육방법을 고민하는 부모님 v 느린학..
2022.04.05
-
그것이 알고 싶다 2탄- 함께걷는아이들 느린학습자 기초학력지원 프로그램 소개
안녕하십니까. 함께걷는아이들 인턴 노신영입니다. 오늘은 올키즈스터디팀에서 ‘느린학습자’를 위해 진행한 기초학력향상 프로그램인 ‘Challenge to Basic’ 의 구체적인 정보에 대한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작년 8월 <그것이 알고 싶다 1탄>느린학습자 소개편에서 ‘느린학습자가 누구인지, 사업 진행 배경, 성과에 대해 간략히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작년 11월 사업을 마무리하고 돌아보며 느린학습자 기초학력향상 프로..
2022.03.25
-
제16기 한국씨티은행-경희대학교 NGO 인턴십 활동 후기
12월이 되고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제일 먼저 무엇이 생각나시나요? 함께걷는아이들은 추운 겨울을 함께 보낼 인턴을 지원받는 NGO 인턴십 프로그램이 먼저 떠오르는 것 같아요^^ 2006년 1기를 시작으로 2021년 16기를 맞이한 ‘한국씨티은행-경희대학교 NGO 인턴십 프로그램’ 은 동계방학기간 8주 동안 전국의 주요 NGO에 대학(원)생을 인턴으로 파견하고, 그 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16기에는 전국 62개의 시민단..
2022.03.03
-
[2022 겨울호] 부모가 된 청소년과 아기에게 골든타임을 후원해주세요
출산 직후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지만 부모가 된 청소년과 1세 미만 영아는 힘든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청소년이 아기를 낳는 경우 원가족과 단절되거나 정보가 부족하여 출산과 양육이라는 인생의 커다란 변화를 홀로 감당해야 합니다. 청소년이 출산 후 아기를 양육하거나 시설에 보내기를 갈등하고 고민하는 상황에서 청소년과 아기를 받아주는 곳을 찾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함께걷는아이들은 부모가 된 청소년과..
2022.01.17
-
[2022 겨울호] 함께걷는아이들 소식
'비상구에서 지은 누구나의 집' 엑시트X자립팸 10주년 기록집 북콘서트 엑시트와 자립팸 10년의 활동을 기록한 '비상구에서 지은 누구나의 집' 엑시트X자립팸 10주년 기록집을 발간하며, 11월 26일 온라인 북콘서트에서 그동안의 활동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부에서는 자립팸 앨리스(청소년)와 함께 '탈시설과 청소년 주거권' 토크쇼를 진행했습니다. 이상한나라에서 함께 살아온 시간이 어떠했는지, 청소년에게 '집다운..
2022.01.17
-
[2022 겨울호] 집다운 집! 청소년자립팸 이상한나라
엑시트에서 만난 청소년들의 집다운 집을 만들자는 제안에 2013년 5월 청소년자립팸 이상한나라(이하 자립팸)가 만들어졌습니다. 18세~24세 여성 청소년이 한 번에 최대 5명까지, 2년 2개월 동안 살며 자립을 위한 힘을 길러갑니다. 자립팸은 규칙이 없는 대신 약속이 존재합니다. 규칙은 정해져 있어서 맞춰야 하는 부담감이 있지만, 약속은 서로 이야기하면서 조율할 수 있습니다. 함께 맞춰가며 서로 존중하는 삶이 자립팸에..
2022.01.17
-
[2022 겨울호] 환대와 질문이 살아있는 이곳은 엑시트
2011년 7월부터 지금까지 움직이는청소년센터 EXIT(이하 엑시트)는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설이나 추석이나 저녁 8시부터 새벽 1시까지 태풍에도 코로나에도 거리에 있는 청소년을 만나왔습니다. *본 텍스트는 '비상구에서 지은 누구나의 집' 엑시트X자립팸 10주년 기록집 북콘서트에서 상영된 10주년 기념 영상의 내용으로 구성했습니다.
2022.01.17
-
[2022 겨울호] 그리고 청소년 주거권
누군가에는 평안한 안식처, 자유로움이 있는 집이 누군가에게는 무섭고 살고 싶지 않은 공간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가족의 경제력에 종속되어 아동·청소년은 집이라는 공간에서 폭력이나 방임, 차별을 경험하기 쉽습니다. 집을 나온 청소년들에게 한국 사회는 가정으로 돌아가라고 하거나 시설에 머무르라고 말합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집으로 다시 돌아가거나 규칙과 제한이 가득한 집이라 부를 수 없는 시설에서 청소년..
2022.01.17
-
[2022 겨울호] 당신에게 '내 집'은 어떤 의미인가요?
집을 영어로 표기한다면, 당신은 어떤 단어를 사용하실 건가요? 처음 영어를 배울 때 home과 house의 의미가 그렇게 헷갈렸습니다. 한국어로는 집이라고 표현하면 되는데 어떤 때는 home을 사용해야 의미가 전달되기도 하고 또 어떤 때는 house를 사용해야 하고… 지금도 가끔은 헷갈립니다. house는 건물과 같이 물리적인 의미가 강하고 home은 가정이나 보금자리같이 소속감이 들어있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집이라는 단어에 참..
2022.01.17
-
아동·청소년 온앤오프(ON-line/OFF-line) 어린이들이 살기 좋은 도시는 어디일까?
▷ 아동친화도시란? 1996년, 이스탄불에서 인류 거주 문제에 대한 회의가 열렸다. 회의에 참석한 각국 대표는 ‘아동의 안녕’이야말로 건강한 도시, 민주적인 사회, 굿 거버넌스의 평가지표라는 유니세프의 이야기를 경청했고, 이 회의로부터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개념이 탄생하였다.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는 10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이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참여 : 아동과 관련된 일을 시행할 때 아동의 의견을 듣고 고..
2021.12.27
-
누구나 당할 수 있다 가스라이팅-청소년을 속이는 심리적 지배
누구나 당할 수 있다 가스라이팅_청소년을 속이는 심리적 지배 가스라이팅이란,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스스로 의심하게 만들고, 이로서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하는 정신적 학대의 한 유형입니다. 친구, 가족 등 친밀한 관계나 학교, 직장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데요, 주로 비대칭적 권력으로 누군가를 통제하고 억압하려 할 때 이뤄집니다. 1단계: 논쟁 "네 생각, 너무 억지 아니야?" 상대방의 말에 대해 생..
2021.12.23
-
비상구에서 지은 ‘누구나’의 집: 엑시트 X 자립팸 10년의 기록
▷ 엑시트? 자립팸? 앨리스? 지난 11월 26일, Zoom을 통해 엑시트와 자립팸의 10년을 기록한 『비상구에서 지은 누구나의 집』 출간 기념 북콘서트가 열렸다. 1부는 자립팸 청소년이 말하는 ‘탈시설과 청소년 주거권’ 토크쇼로 진행되어 청소년들이 직접 자립팸과 '집다운 집', 앞으로의 대안적 주거에 대한 이야기를 펼쳤다. 2부는 10주년 구술 기록집을 만든 배경, 기록집에 담긴 엑시트와 자립팸 활동원칙 등에 대해 인..
202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