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걷는아이들/뉴스레터80

함께걷는아이들 뉴스레터 - 2025.01 마음도 연말정산이 필요해요. 올 한 해 어떤 마음을 가지고 살아갈지 이야기하고자 합니다.공유하기게시하기웹에서 보기함께걷는아이들 뉴스레터 이달의 이야기- 마음도 연말정산이 필요해요.출처: 게티이미지뱅크새해가 밝았습니다. 연말정산을 통해 소비와 지출 내역을 점검하는 것처럼, 마음에도 연말정산이 필요합니다. 감정이나 마음 상태 즉, “마음의 소비내역”을 점검함으로 더 건강하고 안정적인 마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연말정산 기간을 맞아 ‘마음 연말정산’을 통해 앞으로 어떤 마음을 가지고 살아갈지 이야기하고자 합니다.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변화시키는 긍정적인 마음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감정과 마음을 품고 살아갑니다. 일상을 보내며 시기하거나 미워하는 마음이 생기기도 하고, 애정이 어린 마음과 감사하는 마음이 생겨나기도 합니.. 2025. 1. 2.
함께걷는아이들 뉴스레터 - 2024.12 연말을 따뜻하게 마무리 하는 방법 함께걷는아이들 후원자가 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공유하기게시하기웹에서 보기함께걷는아이들 뉴스레터 이달의 이야기- 함께걷는아이들 후원자가 되려면?어린이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하여 문화예술, 교육, 위기 청소년을 지원하는 함께걷는아이들에 후원으로 동참하길 원하는 분을 위한 특별한 ‘이달의 이야기’를 가져왔어요. 함께걷는아이들의 후원자가 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지금 소개합니다.올키즈스트라 활동을 지원하는 일시/정기 후원올키즈스트라는 함께걷는아이들의 대표 사업으로 어린이, 청소년에게 음악으로 특별한 일상을 선물합니다. 올키즈스트라 참여 어린이, 청소년은 레슨과 합주, 연주 활동, 여름 캠프 등의 동기부여 프로그램으로 자신감과 친구관계, 미래에 대한 기대 등 다양한 영역의 성장을 경험합니다. 올키즈스트라 단.. 2024. 12. 9.
함께걷는아이들 뉴스레터 - 2024.11 금일은 금요일 아닌가요? 문학적 소양과 문해력이 중요한 시대의 아이러니공유하기게시하기웹에서 보기함께걷는아이들 뉴스레터 이달의 이야기- 금일은 금요일 아닌가요?출처: 인터넷 갈무리최근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 문학의 위상을 높였을 뿐 아니라, 문학이 주는 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켰습니다. 하지만, 문학적 소양과 문해력이 중요한 시대에 아이러니하게도 청소년 사이에서는 문해력 저하가 커다란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루·이틀·삼일·사흘”…요즘 세대, 정말 이렇게 말한다고요?젊은 세대에 대한 문해력에 관한 여러 사례가 화두에 오르는 일이 잦습니다. 이제 금(今)을 써 오늘을 뜻하는 ‘금일’을 ‘금요일’로 착각한 문자는, 모르는 이가 없을 만큼 고전 사진으로 남았습니다. 10월.. 2024. 11. 1.
제12회 올키즈스트라 정기연주회에 초대해요🙌 2024년 11월 20일(수) 저녁 7시 30분, 부천아트센터 콘서트홀에서 만나요.공유하기게시하기웹에서 보기 제12회 올키즈스트라 정기연주회 에서는우리 모두의 삶에서 사랑을 이루는 것들을 상위관악단의 아름다운 선율로 이야기합니다.반짝이는 올키즈스트라를 지금 만나보세요✨ 📍일시: 2024년 11월 20일(수) 오후 7시 30분📍장소: 부천아트센터 콘서트홀 🐳출연: 올키즈스트라 상위관악단⭐️지휘: 장한솔⭐️협연: 바이올리니스트 김다미🌱해설: 김정현 아나운서 ✨주최: 함께걷는아이들✨후원: SM Entertainment, SM Classics  💌 프로그램 💌R. Sheldon - SkydanceS. Yagisawa - The Bells of Sagrada FamiliaP. I. Tchaikovsky.. 2024. 10. 18.
함께걷는아이들 뉴스레터 - 2024.10 '모두의 집'을 위한 행진 올해는 10월 3일(목) 오후 4시, 홍대입구역 7번 출구 앞에서 진행됩니다.공유하기게시하기웹에서 보기함께걷는아이들 뉴스레터 이달의 이야기- '모두의 집'을 위한 행진10월 첫째주 월요일은 세계 주거의 날입니다. 국제연합(UN)이 1986년 지정한 기념일로 열악한 주거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주거가 기본적인 권리라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참고) 하지만 한국에서는 주거가 기본적인 권리이기보다는 ‘집’으로 재산을 증식하는 수단으로 여깁니다. 이로인해 아직도 우리 사회는 열악한 주거에서 살아가는 이들이 많습니다.  "주거는 인권이다"…주거권 밖에 있는 사람들태어나 보니 컨테이너, 비닐하우스 등 비주택,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집에서 자라야 하는 주거빈.. 2024. 10. 17.
함께걷는아이들 뉴스레터 - 2024.09 딥페이크 이용한 디지털 성범죄, 해결 가능할까? 사실 이 사태는 갑자기 나타난 일이 아닙니다.공유하기게시하기웹에서 보기함께걷는아이들 뉴스레터 이달의 이야기- 딥페이크 이용한 디지털 성범죄, 해결 가능할까?출처: 게티이미지뱅크딥페이크 *인공지능 기술인 ‘딥러닝(deep learning)’과 가짜를 의미하는 ‘페이크(fake)’의 합성어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인간 이미지 합성 기술를 이용한 성범죄 문제로 대한민국이 홍역을 치르고 있습니다. 텔레그램봇으로 나체 사진을 만드는 등 불법합성물을 제작하는 텔레그램 채널에 22만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들어가 있어 큰 충격을 준 것입니다. 더구나 이번 사건이 우리에게 더욱 충격적으로 다가온 이유는 범죄 가해자의 상당수가 10대라는 점입니다. 정치권에서는 처벌 강화를 위한 법을 내놓고.. 2024.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