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기자단 기사157

제대로 배워야 아는 만큼 보인다 -우리나라 학교 성교육의 현시점 “모든 학급은 자리에 앉아 주변을 정돈하고 교실 TV를 켜주시기 바랍니다. 잠시 뒤 교내 성교육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내가 학창시절 들었던 성교육의 서두였다. 방송실의 중앙관할아래 촬영실에서 강사님의 설명만을 듣는 것을 우리는 성교육이라고 칭했었다. 아기가 생기는 과정을 보여주고 임신을 통한 출산 영상을 보여주고, 콘돔을 내보이며 모형 성기에 끼우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전부였다. 이마저도 나와 내 친구들은 듣지 않았다. 재미가 없었고, 사실 큰 도움이 되는지도 몰랐기 때문이다. 대학생이 된 지금의 시점에서 돌이켜 생각해보면 우리나라의 교내 성교육은 매우 부실한 실정이다. 성 지식이라고는 친구들끼리 핸드폰으로 SNS로 전해 듣는 것들이 전부였고, 정확한 피임방법에 대해서도 성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2018. 12. 19.
위대한 그 이름 '엄마', 조금 이른 나이에 위인이 된 그들 “명지 이제 어떻게해? 어린나이에..” 청소년 미혼모 김명지(가명, 19) 씨를 힘들게 한 건 본인이 엄마가 된 사실보다 주변의 시선이었다. 고등학교 시절 생긴 아이를 “책임지겠다.”라고 말한 남자친구의 말을 믿고 아이를 낳았다. 출산 후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의 아빠는 연락이 뜸해졌고 그렇게 그와 자연스레 멀어진 김명지 학생은 그렇게 ‘청소년 미혼모’가 되었고 세상을 향한 홀로서기를 시작해야만 했다. (출처 : sbs카드뉴스) 통계청의 최신통계에 따르면 2017년 미혼모는 전체 22,065명 그중에서도 청소년 미혼모는 377명이다. 퍼센트로 보았을 때 큰 숫자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10대에 엄마가 된 수가 400명에 이른다고 생각해 보았을 때 이들을 위한 지원과 복지체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청소.. 2018. 12. 18.
우리의 놀권리, 지켜지고 있나요? ‘술래잡기 고무줄놀이~ 말뚝박기 마빡이 마빡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보았을 정겨운 노래이다. 아이들이 동네에서 친구들과 노는 모습을 그리는 노래이다. 그런데 이러한 노래가 요즘 시대에는 듣기 힘들어졌다. 집과 학교 그리고 학원을 오가는 현대사회의 바쁜 아동들은 놀 권리를 박탈당했기 때문이다. 운동장에서 친구들과 두꺼비집 짓고 놀던, 공 하나만 있다면 운동장에서 몇 시간이고 놀 수 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지금은 찾아보기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지난 11월 24일 토요일 서울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아동인권보고대회의 마지막 세션으로서 ‘아동의 놀권리’에 관한 아동인권 당사자 모니터링 결과발표회가 이루어졌다. 지역별 권역으로 나누어져 모니터링단으로 활동한 아동들이 ‘아동의 놀권리’에 관한 모니터링 사례를 발표하는.. 2018. 12. 17.
SCHOOL ME-TOO, 긍정의 ME TOO!가 되어야한다 “ME TOO”. 세상을 향해 도움을 요청하는 짧지만 강한 한마디 흔히 대화를 나누는 상대의 말에 동의하거나 같은 상황에 놓여있을 때 우리는 “나도 그래”라며 동질감을 나타내는 의사 표현을 한다. 우리 사회의 현시점에서 “미투”는 어떤 의미로 쓰이는가? 미투 운동은 미국에서 할리우드 영화제작자인 하비 와인스타인의 성 추문을 폭로하고 비난하기 위해 소셜미디어에 해시태그를 다는 운동에서 출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지현 검사의 검찰 내 성폭력 실상을 고발하며 미투 운동을 촉발한 것이 시작이었다. 영향력 있는 그녀의 폭로를 시작으로 우리 사회 곳곳에 잠재되어있던 실상들이 하나둘 표면으로 올라오기 시작했다. 사회가 마주하기 불편한 진실과 정면 돌파하게 된 것이다. 지난 11월 23일 금요일 오후 서울 프레지던트호.. 2018. 12. 11.
보이지 않는 마음의 질병,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대하여 우울증은 ‘현대인의 감기’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전세계적으로 흔하면서도 심각한 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인류에게 가장 큰 부담을 초래하는 10가지 질환 중 3위로 우울증을 꼽았고, 2030년에는 1위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현대인의 좋지 못한 정신건강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청소년도 예외는 아니다. 2017년 청소년 통계에서는 청소년 중 평상시에 심각한 정도의 스트레스를 인지하는 비율은 37.2%로 나타났다. 한편 우울감을 경험하는 청소년의 비율은 25.1%였다. 이는 청소년 4명 중 1명은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음을 의미한다. 스트레스와 우울감과 같은 병리적인 상태가 심화되어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은 2만 5천여 명이었다. 통계적.. 2018. 12. 7.
[문화예술 제한 거리 좁히기 시리즈 – 02] 예술로 보듬는 마음, 문화예술 아동심리치유 [문화예술 제한 거리 좁히기 시리즈-02] 예술로 보듬는 마음, 문화예술 아동심리치유 문화예술을 도구로 아이들의 내면치유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하기도 혹은 그들이 거주하는 사회로 뛰어들기도 어른만큼이나 아이들도 많은 스트레스와 고민을 갖고 살아간다. 하지만 심리치료에 대한 편견과 비용 문제, 사회적 시선 때문에 어른도 도전하기 쉽지 않은 것이 사실. 이를 아이들이 접근하기란 더욱 힘들다. 다행히도 치료가 필요한 아이들을 위해 문화예술을 매개로 심리치유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곳들이 있다. 그 사례와 속을 함께 들여다보자. 문화예술로 이루는 심리치유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이 있다. 음악으로 심리치유가 이루어지는 사례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치료학과에서 서울서부지방검찰청의 제안을 받아 2013년부터 5년간 실행하.. 2018. 12. 6.